본문 바로가기
영화리뷰

[영화리뷰]순수함혹은담담함.8월의크리스마스(1998)

by 꿈꾸는구름 2019. 8. 1.
반응형

- 결말을 포함한 다수의 스포일러 있습니다 - 

영화의 메인 포스터 (다음 발췌)

  '8월'과 '크리스마스'라는 단어는 서로 어울리지 않는다. 그렇기에 두 단어가 동시에 들어간 이 영화의 제목은 매우 낯설다. 그 낯설음 만큼이나 기존에 이 영화와 비슷한 소재를 가지고 만들었던 영화와 이 영화는 매우 다르고 낯설다. '시한부 인생'이라는 소재를 가진 영화이지만 죽음에 대한 좌절감, 공포감, 회의감 등의 감정을 호들갑스럽게 외부로 나타내지 않고 차분히 내면에서 담담히 받아들인다. 허진호 감독은 데뷔작이었지만 철저히 계산된 연출력으로, 매우 신파적인 소재의 영화를 절재와 감정의 과잉없이 섬세하게 표현한다.

주인공 정원(한석규)과 다림(심은하) (다음 발췌)

  영화 속 주인공은 '정원'은 사진관을 운영하며 아버지를 모시고 사는 노총각이다. 불치병에 걸려 시한부 인생을 선고받았지만 항상 웃으며 평범하게 일상을 지내고 있었다. 주차단속원인 '다림'은 세상의 많은 사람들과 좋지 않은 관계를 유지하며 지내야 하는 직업을 가진 젊지만 순수함을 가진 여성이다. 이들의 연기를 하는 한석규와 심은하는 영화 촬영 당시 최고의 인기를 구가하는 배우들이었는데, 그들의 이미지만으로도 이 영화와 참으로 어울린다는 느낌이 든다. 두 배우 모두 안정적이고 차분한 이미지가 강한 배우들인데 특히나 '정원'역을 맡은 한석규는 그의 사람 좋은 웃음과 담담함이 '시한부인생'이라는 삶의 종착지를 향해 달려가고 있는 현실을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더욱 가슴아프게 했다. 지금은 스크린에서 볼 수 없는 심은하 역시 대표작으로 꼽을 수 있는 영화이며, '미술관 옆 동물원'과 이 영화를 그녀의 대표작(영화의)이라고 볼 수 있겠다. 거의 노 메이크업 상태로 연기하는 풋풋한 심은하의 모습을 보는 것만으로도 참 좋았다.

정원의 사진관에서 휴식을 취하는 다림 (다음 발췌)

  죽음을 맞이하는데 이렇게 담담할 수 있을까 싶을 정도로 영화는 내내 그 성격을 유지한다. 영화 중반에 밤에 이불을 덮어쓰고 혼자 흐느끼거나, 친구들과 술을 먹고 다른 사람들과 시비가 붙어 경찰서에서 그를 말리는 친구를 붙잡고 소리치는 장면 외에는 단 한번의 오열이나 소리치는 장면이 없다. 대게 이런 영화는 아버지와 아들이 부여잡고 눈물을 흘리며 오열하는 장면이나, 의사 선생님을 부여잡고 울부짓는 아버지의 모습이나, 친구들이 안타까움에 그를 붙잡고 울부짖는 장면이 나올 법도 한데, 전혀 그런 장면은 없다. 오히려 죽음을 맞이하는 자세가 너무 담담해서 애잔한 마음이 시종일관 마음 한구석에 자리 잡고 있게 하는 것 같다.   

길거리에서 아이스크림을 나눠 먹는 두 사람 (다음 발췌)

  삶의 시간이 많이 남지 않은 정원에게 다림이라는 사랑이 찾아오게 되고, 사랑은 시간이 많이 걸리는 일이기에, 특히나 너무도 조심스럽게 서로에게 다가가는 두사람에겐 시간이 별로 없다. 그 사실을 알고 지켜보는 관객들은 마음이 조급하다. 하지만 당사자인 정원은 시간이 없음에도 사랑을 서두르지 않는다. 이야기를 나누고, 아이스크림을 나눠 먹고, 오토바이를 같이 타고, 학교 운동장을 함께 달리고, 가게에서 캔맥주를 사서 나눠 마시고, 놀이동산에 같이 놀러가고, 조심스러운 팔짱을 끼고... 시간이 촉박하다고 다른 사람과 다르지 않게 사랑을 키워 나간다. 허진호 감독은 '죽음도 삶의 일부'라는 지극히 평범한 명제를 '정원'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시간이 촉박하다고 모든 단계를 한꺼번에 뛰어 넘고 사랑이 시작되지는 않을 테니까 말이다. 그 점이 이 영화에서 가장 좋았다. 혼자서 마음 급하게 서두르지 않는 정원의 모습이 공감이 되고, 그 모습이 그래서 더 가슴아프고 애잔하게 다가왔다.

놀이공원에 같이 놀러간 두 사람 (다음 발췌)

  영화는 설명적이지도 않다. 짧고 간결한 정원의 나레이션이 있을 뿐, 인물의 대사나 자막으로 상황을 굳이 설명하려 들지 않는다. 둘의 사이가 매우 가까워진 놀이공원 데이트 후에 정원은 갑작스럽게 쓰러져서 병원에 입원하게 되는데 그 사실을 모르는 다림은 며칠을 사진관 앞에서 서성이다가 정원에게 편지를 쓴다. 그 편지를 사진관 문에 끼워두는데 나중에 정원이 퇴원하고는 그 편지를 읽는 장면이 있다. 하지만 그 내용은 관객에게 알려주지 않는다. 다림의 나래이션이 나올 법도 한데 허진호 감독은 모든 걸 관객의 상상력에 맡긴다. 아마도 굳이 그 내용을 알리지 않아도 관객이 알것이라 생각했을 것이다. 이 부분이 이 영화의 하이라이트에 근접한 부분인데 대략 15분간 대사는 전혀 없다. 그저 무성영화 같이 배우들의 몸짓 연기와 표정연기가 스크린을 채운다. 관객은 그저 그들의 모습을 보고 분위기를 감지하고 인물관계를 짐작할 뿐이다. 다소 불친절해 보이는 이런 연출은 오히려 관객을 몰입하게 하고 각자 나름의 상상으로 다림과 정원의 관계에 대해 정립할 수 있어서 좋은 연출 방향이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점은 영화 시작부터 일관되게 유지되어온 연출 방식이기에 관객이 혼란스럽게 받아들이지 않는 것이다.

정원의 사진관에 편지를 넣는 다림 (다음 발췌)

  8~90년대의 아날로그식 방법들이 가슴 시리게 다가온 영화이기도 하다. 지금은 거의 사라진 필름 현상과 비디오 플레이어, 지금도 그렇게 사랑을 시작하는지는 모르겠지만 놀이공원에 같이 놀러 가자고 첫 데이트를 신청하는 것까지 아날로그 적이지만 순수하고, 올드하지만 감성이 풍부했던 그 시절의 모든 것들이 빠르고 편리하게만 바뀌어버린 현재의 차가운 편리함보다는 따뜻하게 느껴졌다. 필름을 들고 사진관을 가면 아저씨가 '3일 뒤에 오세요'라며 색연필로 이름과 날짜를 쓰고 종이봉투에 담던, 까만 봉투에 비디오테이프를 빌려서 설렌 마음으로 비디오 플레이어에 테이프를 넣던, 좋아하지만 마주 보고도 서로 말 한마디 제대로 못했던, 그 시절의 모든 아날로그적 감성이 영화에 잘 녹아있어서 또 좋았다. 

그들의 즐거운 한때 (다음 발췌)
올드하지만 가슴설레는 장면 (다음 발췌)

  영화에 집중하다 보면 주인공의 입장이 되어 나도 저럴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내가 정원이었다면 저렇게 하루하루를 보낼 수 있을까? 저 모습이 과연 체념일까? 달관일까? 외적으로 풍기는 모습은 물론 후자에 가깝겠지만 내면은 아픔과 공포를 스스로 감내하고 있었을 것이다. 그 누구도 죽음 앞에서 초연할 수 없을 테니까. 정해진 운명이라면 담담히 받아들이고 남은 시간을 마음만이라도 행복하게 보내자는 게 정원의 마음이 아니었을지. 삶의 작은 것 하나까지 준비해나가는 그의 모습에서 죽음에 대한 자세를 생각해 볼 수 있었다.

아버지(신구)에게 비디오 플레이어 작동법을 가르쳐 주는 정원 (다음 발췌)

  이후 허진호 감독의 행보는 대한민국의 대표적 멜로 영화감독으로 자리매김한다. 되돌아보면 그의 영화는 소란함이라고는 없었다. 차분하고 담담하고 조용한 영화의 분위기로 사랑을 담아낸다. 그런 그의 영화적 언어는 대중성도 지니게 되어 더욱 강력한 화법이 되었다. 허진호 감독의 초창기 다소 서툰 모습도 찾아볼 수 있는, 한석규와 심은하라는 대배우들의 순수하고 풋풋했던 모습들을 담은 '8월의 크리스마스'는 두고두고 볼 명작이다. 

정원의 사진관 창문에 돌을 던진 다림 (다음 발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