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시사,과학,궁금한것들

감기에 걸리면 근육통이 생기는 이유?

by 꿈꾸는구름 2025. 1. 10.
반응형

감기에 걸리면 근육통(전신 통증)이 생기는 이유는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신체의 면역 반응때문입니다. 

이는 단순하게 바이러스 자체의 영향 뿐만이 아니라,

우리 몸의 면역체계가 감염을 퇴치하기 위해 작용하면서

나타나는 다양한 생리적인 변화 때문이기도 합니다. 


1. 면역반응과 염증 물질의 작용

1. 염증성물질(사이토카민)의 분비 :

- 감기에 걸리면 우리 몸은 바이러스를 제거하기 위해 면역반응을 활성화 합니다. 

- 이 과정에서 사이토카민, 프로스타글라딘, 히스타민 같은 염증성 물질이 분비됩니다. 

- 이러한 물질은 감염 부위에서 염증을 유발하고, 신경을 자극해 근육통과 피로감을 느끼게 합니다. 

2. 프로스타글라딘의 역할

- 프로스타글라딘은 염증과 통증을 유발하는 주요 물질로,

감염 부위 뿐만 아니라 우리몸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이 물질은 근육과 관절 주변의 신경을 자극해 통증을 느끼게 만듭니다. 


2. 면역 시스템 활성화로 인한 에너지 소모

- 바이러스와 싸우는 과정에서 백혈구와 기타 면역 세포들이 활발히 활동하며 에너지를 많이 소모 합니다. 

- 에너지가 주로 면역 반응에서 사용되면서 근육세포의 에너지가 부족해지고, 이로 인해 피로감과 통증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 


3. 체온 상승(발열)의 영향

- 감기와 같은 바이러스 감염 시, 우리몸은 바이러스를 죽이기 위해 체온을 상승 시킵니다.(발열)

- 체온 상승 과정에서 근육이 경직되고 에너지를 많이 소모하게 되어 근육통이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4. 신경계의 역할 

- 바이러스 감염 시 말초신경이 자극을 받거나, 염증성물질이 중추 신경계에 영향을 미쳐 통증을 느끼게 할 수 있습니다.

- 특히, 인터루킨-1(IL-1), 인터루킨-6(IL-6) 같은 물질이 뇌에 신호를 보내어 통증과 피로를 증폭시킵니다. 


5. 수면부족과 피로의 악화

- 감기증상(기침, 코막힘 등)으로 인해 수면의 질이 떨어지면 근육 회복이 지연되고 피로감이 누적되어 근육통이 심화됩니다. 

- 근육은 수면 중에 회복되므로, 감기로 인해 수면이 부족하면 근육통이 더 두드러 질 수 있습니다. 


감기 근육통 완화를 위한 방법

1. 충분한 휴식과 수면 :

- 면역 체계가 감염과 싸우는 데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충분히 쉬어야 합니다. 

2. 수분섭취 :

- 물이나 따뜻한 차를 마셔 탈수를 예방하고 염증을 완화 합니다. 

3. 온열 요법 :

- 따뜻한 샤워나 온찜질로 근육을 이완하고 통증을 완화 합니다. 

4. 진통제 사용 :

- 심한 통증이 있다면 이부프로펜이나 아세트아미노펜을 복용할 수 있습니다. 

5. 가벼운 스트레칭 :

- 너무 무리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근육을 가볍게 움직이며 경직을 완화 할 수 있습니다. 


결론

감기 시 발생하는 근육통은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면역 반응과 염증,

에너지 소모, 그리고 신경계의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 입니다. 

증상은 시간이 지나면서 면역체계가 바이러스를 제거하게되면 

자연스럽게 사라지며, 충분한 휴식과 적절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반응형

댓글